실기과목명
|
주요항목
|
세부항목
|
세세항목
|
자동차정비 실무
|
1. 네트워크통신장치
정비
|
1. 네트워크통신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통신별 장치 · 네트
워크 특성 ·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장치를
점검 ·진단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세부점검 목록을 확인
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.
|
|
|
2. 네트워크통신장치
수리하기
|
1. 네트워크 회로도에 따라 통신의 흐름을
파악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단선 ·단락에 따른
배선의 결선작업을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른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네트워크통신장치를 수리할 수 있다.
|
|
|
3. 네트워크통신장치
교환하기
|
1. 관련부품들의 점검 ·진단결과에 따라
부품교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거 ·조립절차 계획
을 수립하여 장비 ·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이상부품들의 단품을
교환할 수 있다.
|
|
|
4. 네트워크통신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장치를 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양 ·부를 판정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네트워크통신장치 작동
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|
|
2. 가솔린 전자제어
장치 정비
|
1. 가솔린 전자제어
장치 진단하기
|
1. 안전작업절차에 따라 전자제어장치 점검을
할 수 있다.
|
|
|
|
2. 차종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를 이해하고
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3. 안전작업절차에 따라 전자제어장치의
세부점검 목록을 확인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하고 점검 ·진단할 수 있다.
|
|
|
2. 가솔린 전자제어
장치 조정하기
|
1. 가솔린 전자제어장치의 정비지침서에 따라
가솔린 전자제어장치 규정값 범위가 되도
록 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가솔린 전자제어장치
관련 단품의 규정값 범위가 되도록
진단장비로 조정할 수 있다.
|
|
|
3. 가솔린 전자제어
장치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가솔린 전자제어장치의
전기흐름을 파악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수리가능여부를 판단
하여 수리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3. 가솔린 전자제어장치에 관련된 진단내용에
따라 가솔린전자제어장치를 수리할 수 있다.
|
|
|
4. 가솔린전자제어
장치 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기솔린 전자제어장치
관련 부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부품을 판독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가솔린 전자제어장치
관련 부품을 탈부착 순서에 맞게 교환할
수 있다.
|
|
|
5. 가솔린전자제어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가솔린 전자제어장치
관련 단품을 검사하여 이상유무를 판독할
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가솔린
전자제어 장치의 성능상태에 대한
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.
|
|
|
|
3. 시운전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가솔린
전자제어장치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.
|
|
3. 디젤전자제어
장치 정비
|
1. 디젤 전자제어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안전작업절차에 따라 디젤 전자제어장치를
점검하여 고장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2. 진단장비를 이용하여 관련부품 ·배선을
점검하고 이상유무를 판독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장치의 작동
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.
|
|
|
2. 디젤 전자제어장치
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디젤 전자제어장치
관련 부품의 조정을 위해 관련 장비를
선택할 수 있다.
|
|
|
|
2. 디젤 차종에 따라 조정부품들의 규정값을
확인하여 초기설정 범위값을 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3. 디젤 차종에 따라 조정부품들을 준비
할 수 있다.
|
|
|
3. 디젤 전자제어장치
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디젤 전자제어장치
관련 회로도를 분석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디젤 전자제어장치
진단 장비를 활용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디젤 전자제어시스템을
점검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4. 디젤 전자제어장치
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분해 ·조립 계획을
수립하여 장비 ·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2. 디젤 전자제어 관련 부품들의 점검 ·진단
결과에 따라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디젤 전자제어장치
관련 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|
|
5. 디젤 전자제어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디젤 전자제어장치
관련 단품을 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2. 디젤 전자제어장치 작동상태 ·장치 성능
검사절차에 따라 검사를 할 수 있다.
|
|
4. 배출가스장치
정비
|
1. 배출가스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배출가스장치를 숙지
하여 배출가스 관련 장치의 작동상태를
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배출가스장치의
세부점검 목록을 확인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사용하여
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.
|
|
|
2. 배출가스장치
조정하기
|
1. 차종에 따라 배출가스의 분석을 통해
규정값을 확인하여 초기설정 범위 값으로
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배출가스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배출가스 분석을 통해
관련 부품을 조정할 수 있다.
|
|
|
3. 배출가스장치
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시스템을 분석
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가능여부를
판단하여 수리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배출가스장치에 관련된
부품을 수리할 수 있다.
|
|
|
4. 배출가스장치
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분해 ·조립 계획을
수립하여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공구를
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배출가스 관련 부품을
교환할 수 있다.
|
|
|
5. 배출가스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이용하여
배출가스장치를 검사하고 판단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배출가스장치 검사를
통해 고장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배출가스장치
의 작동 상태 ·성능에 대한 검사를 수행
할 수 있다.
|
|
5. 자동변속기
정비
|
1. 자동변속기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점검 및
진단하여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 장치의
세부 점검 목록을 확인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의 오일상태
와 유압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다.
|
|
|
2. 자동변속기
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의 고장목록
을 확인하여 조정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의 조정부품
·오일압력을 확인하여 규정값으로 조정할
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 관련 부품
의 조정을 위해 장비를 선택하여 사용할
수 있다.
|
|
|
3. 자동변속기
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 가능여부
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2. 자동변속기 장치에 관련된 진단내용에
따라 자동변속기를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3. 안전작업 절차에 따라 자동변속기를
수리할 수 있다.
|
|
|
4. 자동변속기
교환하기
|
1. 자동변속기 장치 관련 부품들의 점검 ·
진단결과에 따라 자동변속기 교환 부품을
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절차 계획을
수립하여 장비 및 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 장치의
교환 목록을 확인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
있다.
|
|
|
5. 자동변속기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의 세부점검
목록을 확인하여 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사용하여
자동변속기를 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변속기 장치
작업 후 검사할 수 있다.
|
|
6. 유압식 현가장치
정비
|
1. 유압식 현가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유압식 현가장치를
파악하고 관련 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
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유압식 현가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유압식 현가장치의
세부 점검 목록을 확인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할 수 있다.
|
|
|
2. 유압식 현가장치
교환하기
|
1. 유압식 현가장치 관련 부품들의 점검 ·
진단 결과에 따라 유압식 교환 부품을
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 순서를 파악
하고 장비 및 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유압식 현가장치의
교환 목록을 확인하여 교환 작업을
수행할 수 있다.
|
|
|
3. 유압식 현가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유압식
현가장치의 작동 상태 및 성능을 검사할
수 있다.
|
|
|
|
2. 유압식 현가장치에 관련된 진단내용에
따라 유압식 현가장치를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유압식 현가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|
7. 전자제어
현가장치
정비
|
1. 전자제어 현가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현가장치를
파악하고 관련 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
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현가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현가장치의
세부점검목록을 확인하여 고장원인을 파악
할 수 있다.
|
|
|
2. 전자제어 현가장치
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조정부품의 규정값을
확인하여 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현가장치
관련부품의 조정을 위한 관련 장비를
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현가장치를
조정하여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
수 있다.
|
|
|
3. 전자제어 현가장치
수리하기
|
1. 전자제어 현가장치 구성 회로도를
분석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 가능
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3.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관련된 진단내용에
따라 전자제어 현가장치를 수리할 수 있다.
|
|
|
4. 전자제어
현가장치
교환하기
|
1. 전자제어 현가장치 관련 부품들의
점검 ·진단 결과에 따라 교환 부품을
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 계획을 수립
하여 장비 및 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준비된 장비 및 공구를
이용하여 전자제어 현가장치 구성부품을
교환할 수 있다.
|
|
|
5. 전자제어 현가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전자제어
현가장치의 작동 상태 ·장치 성능을
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측정 공구와 진단장비
를 사용하여 전자제어 현가장치를 검사할
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현가장치
장치 작업 후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.
|
|
8. 전자제어
조향장치
정비
|
1. 전자제어 조향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를
파악하고 관련 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
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 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의
세부 점검목록을 확인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할 수 있다.
|
|
|
2. 전자제어 조향장치
조정하기
|
1. 차종에 따라 부품을 확인하고 규정값으로
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
관련 부품의 조정을 위해 관련 장비를
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의
목록을 확인하여 조정내용을 파악할
수 있다.
|
|
|
3. 전자제어 조향장치
수리하기
|
1. 전자제어 조향장치에 관한 구성 회로도를
분석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가능 여부
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3. 전자제어 조향장치에 관련된 진단내용에
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를 수리할 수 있다.
|
|
|
4. 전자제어 조향장치
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 계획을 수립하
여 장비 및 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2. 전자제어 조향장치 관련 부품들의 점검 ·
진단 결과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를
교환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의
교환 목록을 확인하여 교환할 수 있다.
|
|
|
5. 전자제어 조향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전자제어
조향장치의 작동 상태 ·장치를 검사
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고장진단 장비를 사용
하여 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조향장치
작업 후 검사를 할 수 있다.
|
|
9. 전자제어
제동장치
정비
|
1. 전자제어 제동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를
파악하고 관련 장치의 작동상태를
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의
고장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의
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.
|
|
|
2. 전자제어
제동장치
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·제동장치의
조정 목록을 확인하여 조정내용을 파악할
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조정부품의 규정 값을
확인하여 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·제동장치
부품의 조정을 위해 관련 장비를 선택하여
사용할 수 있다.
|
|
|
3. 전자제어 제동장치
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 가능여부
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.
|
|
|
|
2. 전자제어 제동장치에 관련된 진단내용에
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를 수리할 수
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|
|
4. 전자제어 제동장치
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 계획을 수립
하여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장비 및
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2. 전자제어 제동장치 관련 부품들의 점검
진단 결과에 따라 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의
교환 목록을 확인하여 교환할 수 있다.
|
|
|
5. 전자제어 제동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전자제어
제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의
고장진단 장비를 사용하여 검사할
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자제어 제동장치를
검사할 수 있다.
|
|
10. 편의장치
정비
|
1. 편의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
점검 ·진단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의 회로를
점검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사용하여
편의장치의 고장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.
|
|
|
2. 편의장치
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 선택할 수
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 규정값
으로 조정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조정 후 정상 작동
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|
|
|
3. 편의장치
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회로도를
분석하여 고장요소를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 수리
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 수리하여
정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.
|
|
|
4. 편의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른 작업결과에 대하여
진단장비를 이용하여 편의장치를
검사하고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의 성능에
대한 검사를 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검사 후 진단수리
절차를 계획할 수 있다.
|
|
11. 냉 ·난방장치
정비
|
1. 냉 ·난방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냉 ·난방장치를
점검·진단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할
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사용하여
냉·난방장치의 고장원인을 판단
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냉·난방장치의
고장원인에 대한 작업계획을 세울
수 있다.
|
|
|
2. 냉·난방장치
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냉·난방장치를
분석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냉·난방장치를
정상 상태로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·수리 후 정상
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|
|
|
3. 냉·난방장치
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사용하여
교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.
|
|
|
|
2. 탈거 ·조립절차 계획을 수립하여 장비
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냉·난방장치를
교환할 수 있다.
|
|
|
4. 냉·난방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수리 후 냉·난방
장치를 검사하여 작동상태를 확인
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냉·난방장치의
성능에 대한 검사를 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냉·난방장치에
대한 검사 후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.
|
|
12. 하이브리드
고전압장치 정비
|
1. 하이브리드
전기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히이브리드전기장치
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세부점검 목록 확인
진단 장비를 사용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정비 시 위험성을
인지하고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작업을
수행할 수 있다.
|
|
|
2. 하이브리드
전기장치 수리하기
|
1. 전기회로도에 따라 하이브리드 전기장치를
파악하여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수리 가능여부를 판단
하여 고장 부품을 수리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 수리
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작업을 실시
할 수 있다.
|
|
|
3. 하이브리드
전기장치 교환하기
|
1. 전기자동차의 전기관련 부품들의 점검
진단 결과에 따라 부품교환 여부를
결정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거 ·조립절차
계획을 수립하고 장비·공구를 준비
할 수 있다.
|
|
|
4. 하이브리드
전기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장치를 검사할 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양·부를 판정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안전장비를 착용하여
정상적인 작동을 검사할 수 있다.
|
|
13. 전기자동차
정비
|
1. 전기자동차 고전압
배터리 정비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고전합 위험성을 인지
하고 안전장비를 착용하여 작업할
수 있다.
|
|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고전압을 차단하고
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.
|
|
|
|
3. 고전압 배터리 구성부품의 종류를 이해
하고 작동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.
|
|
|
|
4. 고전압 배터리 작동원리를 이해하고
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.
|
|
|
|
5. 정비지침서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
구성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|
|
|
6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고전압 배터리 구성부품을 검사할 수 있다.
|
|
|
2. 전기자동차
전력통합제어장치
정비하기
|
1. 전력통합제어장치 구성 부품의 종류를
이해하고 작동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.
|
|
|
|
2. 전력통합제어장치의 작동원리를 이해
하고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전력통합제어장치의
구성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|
|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전력통합제어장치 구성부품을 검사할
수 있다.
|
|
|
3. 전기자동차
구동장치 정비하기
|
1. 구동장치 구성 부품의 종류를 이해하고
작동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.
|
|
|
|
2. 구동장치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정비
지침서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구동장치의 구성
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|
|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구동장치의 구성부품을 검사할 수 있다.
|
|
|
4. 전기자동차
편의 ·안전장치
정비하기
|
1. 편의 ·안전장치 구성 부품의 종류를
이해하고 작동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.
|
|
|
|
2. 편의 ·안전장치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
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.
|
|
|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 ·안전장치의
구성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|
|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 활용하여
편의 ·안전장치의 구성부품을 검사할
수 있다.
|
|
14. 수소연료전지차
정비
|
1. 수소 공급장치
정비하기
|
1. 수소 충전 장치의 작동원리를 파악
할 수 있다.
|
|
|
|
2. 수소 고압용기의 누기 상태를 점검
할 수 있다.
|
|
|
|
3. 수소 공급 감압장치를 점검할 수 있다.
|
|
|
|
4. 수소 감압라인 이상 부품을 점검 ·교환
할 수 있다.
|
|
|
2. 수소 구동장치
정비하기
|
1. 스택 전기 생성의 작동 원리를 파악
할 수 있다.
|
|
|
|
2. 전력 생성 및 고전압 발생 경로를
파악할 수 있다.
|
|
|
|
3. 전력 변환 및 구동장치를 점검하고
이상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